[PLM 2022 Q&A] 클라우드 시대, 중소제조기업의 PLM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체크리스트 / 싱글톤소프트 홍상훈 대표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지사항

[PLM 2022 Q&A] 클라우드 시대, 중소제조기업의 PLM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체크리스트 / 싱글톤소프트 홍상훈 대표

작성일 22-07-22 00:46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조회 2,875회 댓글 0건

본문

[PLM 2022_Q&A] 클라우드 시대, 중소제조기업의 PLM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체크리스트 

싱글톤소프트 홍상훈 대표 


[질문 1] 

중소기업의 PLM 운영과 디지털 트윈 관련 인력과 재원 등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요?


[답변 1] 

LM솔루션의 경우 예전에 종이였던 문서와 도면은 물론, 관련된 다양한 제품관련 메타정보를 및 설계변경등의 업무 플로우를 전산화해주는 정보시스템이므로 디지털 트윈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를 수행할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우 기본적인 파일 관리조차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발표세션에서 언급드렸다시피, 중소제조기업의 입장에서는 (1) 로드맵은 포괄적으로 구상하시되 그 실행은 구체적/단계적으로 수행하시기 권장드리며 (2) 이를 수행할수 있는 현업의 핵심인력을 확보/육성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질문 2] 

중소기업의 PLM 도입을 통한 기존의 제품 수명,변경,효율성,비용 등을 줄일 수 있는 모델과 정부의 지원 정책과 중소기업의 PLM을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지원은 어떻게 시스템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요?


[답변 2] 

(1) 중소기업의 제품수명주기관리(PLM) 관리 효율화에 대한 모델의 핵심은 대체로 PLM 솔루션들이 제공되는 기능 라인업에 의해 대체로 그 방법론과 로드맵이 구체화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발표세션에서 언급드렸다시피 이들 모듈의 기능을 현업의 요건과 매칭해 보시고 단계적으로 도입하여 점차 고도화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 중기의 정보화 지원을 위한 정부의 각종 지원정책중 중기부에서 주도하고 있는스마트 팩토리 구축사업이 있으며, 저희도 최근 2~3년간 상당부분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사업에 일환으로 PLM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 이 외에도 지자체 단위에서 다양한 정부 지원프로그램들이 진행고 있사오니 각종 정부/지자체에서 나오는 사업공고를 평소에 유의깊게 모니터링하고 계실필요가 있습니다.


 - 단, 정부 사업으로 IT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상당한 량의 paper-work이 수반되오니(발표세션에서는 시간관계상  "오버헤드"라 표현했습니다만, 사전에 vendor와 잘 상의하셔서 대비를 하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 업체 입장에서는 어쨌거나 정부지원 프로그램에 의해 고객의 도입 의지가 제고되므로 영업및 수주에는 도움이 되는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오버헤드 (단순히 자료증빙및 진행보고를 위한 페이퍼 웍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디폴트로 부가되는 멘토링에 대한 대응 등)로 인하여,  프로젝트 공수측면에서 대략 15~25% 정도의 증가를 감내하게 되므로, 이를 미리 감안해서 예산 책정을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 위와 같은 도입 검토/운영을 위한 내부의 "스마트한 인력 (사실 한두사람이면 됩니다) "을 시스템적으로 회사의 경영진이 잘 확보하여 충분히 지원해 주는 것이 "시스템"적인 접근 방법 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사람의 문제인데 이를 "시스템적"이라고 말씀드리자니 좀 생뚱맞은 답변이긴 합니다만...)


[질문 3] 

중소기업이 소규모 시스템을 운영하여서 ERP연동을 외주로 위탁운영합니다 이럴 경우 PLM 도입의 범위를 어떻게 산정하는게 유리할까요 자체구축과 위탁하는 부분의 판단 기준이 있을까요?


[답변 3] 

(1) "ERP연동을 외주로 위탁운영하신다"라고 하셨는데, "외주 업체(또는 인력)가 사내에 온프레미스로 구축되어있는 ERP 시스템을 위탁 운영해 주고있다"는 말씀인것으로 생각됩니다. 발표세션에서 언급드렸다시피 PLM 도입의 범위는 외부 연동환경보다는 자체 현업의 제품정보관리업무에서 무엇을 개선할 것인가 (PLM 요건분석)을 먼저 고려하신뒤, 이를 바탕으로한 ERP와의 연동환경을 구상하시는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2) "PLM 자체 구축" 이란 표현을 해주셨는데,기업이 직접 정보시스템을 "자체개발" 하시는 모델을 의미한다면, 이런 방식은 PLM 의 경우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ERP는 자체개발 사례가 PLM보다는 많은듯  합니다)  ERP 시스템에 비해 PLM 시스템은 파일전송을 핸들링해야 하는 기술적인 특수성이 있어, 시장에 개발자 풀이 풍부하지 않기때문에 외주개발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기존의 상용 PLM 솔루션을 도입하셔서 커스터마이징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약하면 사내 전산실에서 자체 개발하든 (이건 대기업도 어렵습니다) 외주 개발하든(PLM 을 외주 개발할수 있는 경험을 가진 개발자를 찾기도 어렵습니다) 상용 솔루션을 구매하고 구축을 솔루션 공급사에게 위탁하든 (일반적인 패턴입니다),  PLM 구축 작업의 핵심은 구축 범위 선정에 따른 As-is 분석 및 To-BE 방안 도출인데, 이 작업의 keys느 내부인력이 가지고 있으므로(업체는 거들뿐), 엄밀하게 말씀드리면 PLM 시스템 구축에 완전한 "위탁"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3) 통상 PLM이 구축되면 구축 TFT을 주도한 내부 인력이 관리자가 되어 운영을 하게 될 것이며, 공급기업은 유지보수 계약을 통해서 PLM 시스템 운영을 "가이드 및 지원"하게 됩니다. (따라서 고객의 온프레미스 시스템 운영 자체를 "위탁"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고 보실수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PLM 은 제품 개발 결과와 행위를 담는 그릇이기 떄문에, 그릇의 주기적인 세척을 위탁하실수 있지만 요리와 배식은 직접 하실수밖에 없다고 비유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ERP의 경우, 회계부분같은 업무는 처리할 데이터와 프로세스가 비교적 정형화되어있고 심지어 "법규"도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운영을 위탁하실수도 있다고 봅니다만,  PLM 은 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4) 클라우드의 경우는 시스템의 IT적인 운영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완전히 위탁" 됩니다만 , 업무적인 운영은 온전하게 고객이 "직접"하셔야 합니다 (에를들어 새로운 직원이 들어왔을때 시스템에 사용자를 추가하고 권한을 설정해주는 업무가 있다면, 클라우드의 경우 당연히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해서 직접 수행하시는 것이 기본적인 패턴입니다. 반면에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공급업체가 유지보수해주고 있는 경우, 이러한 기능은 고객사 현업의 관리자라 하더라도 자주있는 일이 아니므로 이를때 유지보수 업체에 요청하시면 (원래는 고객이 하셔야 할 일이지만) 대신 해드리기도 합니다.  (이것이 위에서 말씀드린 "지원"의 의미입니다.) 


[질문 4] 

ERP와 PLM 차이점은 대학 강의 하셔도 되겠는데요..


[답변 4] 

감사합니다. 제가 ERP 전문가는 아니고, PLM 구축시 ERP연동이 요즘은 거의 필수라 본의아니게(?) 들여다본 사례를 제 관점에서 정리한 것이오니, 제 소견이 100% 맞다기 보다는 "이런 주장이나 관점도 있다"정도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질문 5] 

기존의 PLM이 관리지원의 역할을 했다면 앞으로 PLM은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내기 위해 어떠한 역할까지 할 것으로 예상되는지 궁금하며,이러한 의미에서 싱글톤소프트에서 준비하고 있는 영역 및 계획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5] 

발표세션에서도 언급드렸다시피 PLM의 핵심은 "제품관련 모든 지식의 축적"에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PLM 시스템에 축적된 제품설계 관련 지적 자산을  대상으로 AI 기술을 접목해 보려는 시도가 나타나지 않을까 상상해 봅니다만… 저희 싱글톤소프트의 경우 주로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상대로 하다보니, 기본적인 PLM 도입도 버거워하시는 고객분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보다 현실적으로 "기본적인 디지털화"를 앞당기려면 일단 도입 장벽이 낮아져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이에따라 저희 AonePLM을 점진적으로 (도면관리부터) 클라우드 서비스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질문 6] 

제조, 건설 분야의 디지털 전환(DX)이 가속화 되는 시점에서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있는 스마트 공장,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AI 등을 기반으로 한 PLM과 제조를 융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데 그 성공사례에 대한 소개 부탁 드립니다.


[답변 6] 

저희의 경우 최근 3~4년간 PLM 솔루션을 스마트 팩토리 정부 지원사업의 자금지원으로 도입하시는 고객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다보니 ERP와 PLM 을 연동해야 하는것은 거의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건사항이 되었고, 다소 지엽적이지만 이것도 "PLM과 제조의 웅합"의 예라 할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성공사례에 대해서는 발표세션에서도 언급드렸습니다만, 성공의 기준은 정해진 것은 없고 결국 도입한 고객의 "마음" 에 존재한다고 봅니다만 (..), 저희 관점에서는 구축한 고객이 1년 무상유지보수기간을 지나  유상유지보수계약으로 전환하면 해당 사이트는 "성공사례" 라고 보고있습니다( 사용할수 밖에 없는 일종의 필수재가 되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니까요 ^^)


 성공사례의 "대표적인 PLM-제조 융합모델"은 통상 "PLM의 파트마스터와 E-BOM 구조를 downstream인 ERP로 전송하여 M-BOM을 구성하는 "매우 기본적인 연동 모델"입니다만, 실제로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이런 기본적인 연동조차 실제로 working하게 만들기는 쉽지 않습니다. 요약하면 대부분의 중소기업에 있어 PLM->ERP 연동과 같은 아주 기본적인 연동만 워킹하고 있어도 일단 성공이라고 봅니다.


[질문 7] 

중소제조기업 PLM 도입 시 기업이 방산 관련 업체로 지정이 되어 있는 경우, 관련되어 매년 보안감사 형태의 인증을 받게 되는데, 예를 들어 기무사, 방사청 등의 공식적인 보안감사를 포함하여 원청에서 진행하는 CMMC 인증 등의 기본적인 Requirements들을 싱글톤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솔루션을 도입으로 충족할 수 있나요?


[답변 7] 

여타 각종 인증과 마찬가지로 CMMC도 조직의 보안관리 프로세스가 체계적으로 수행된다는 것을 입증하는 각종 문서와 자료를 요구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PLM은 기본적으로는 문서관리 시스템이미므로 CMMC 인증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별개로, 저희 시스템 자체의 보안체계관련해서 설명드리면 AoneCloud의 경우엔 개발과정부터 secure coding 에 근거하여 작업한결과 한국 클라우드산업협회에서 발급하는 클라우드서비스인증을 획득했고, 현재 KISA에서 발행하는 클라우드 보안인증관련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질문 8] 

PLM은 데이터를 축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데이터의 재사용 실제 사례가 있느지 답변 드립니다.


[답변 8] 

- 기본적으로 PLM에 등록되는 모든 기술문서 및 도면정보 들은 해당 자료의 재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각종 검색, 이력, 버전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 PLM 시스템이 운영하는 모든 고객사는 데이터 축적에 의한 재사용 효과를 누리리라 생각됩니다. 기존 제품을 modify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경우 PLM에 축적되있는 과거 제품의 BOM정보와, 여기에 물려있는 각종 기술자료들을 각종 설계 변경의 이력의 관점까지 통합하여 열람할수 있으므로, 당연하게도 많은 도움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질문 9] 

클라우드 시대에 중소제조기업에서 PLM을 효과적으로 도입하려는 경우 사전에 검토하고 점검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9] 
클라우드 방식의 PLM 솔루션을 도입하시는 경우 발표세션 자료 28p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반적으로" 중소 제조기업이 PLM 도입 할때 사전에 검토하고 점검해야 할 사항(체크리스트)은 바로 제 발표제목 자체이며 발표자료 8p에 목록으로정리해 놓았습니다.(^^) 


[질문 10] 

온프레미스, 엣지 및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이슈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0] 

- 어떤 이슈를 의미하시는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만,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의 차이점은 발표자료 28p에 기술하였습니다. 해당 표의 항목 하나 하나가 이슈라고 생각됩니다.


- 조금 구체적인 사례를 상정해 보자면,  클라우드의 경우 클라우드 서버와 고객사현장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아무래도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속도및 트래픽 비용 문제가 실질적인 이슈가 될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을 극복하기위하여 클라우드서버는 DB 메타정보만 관리하고, 실제적인 파일서버는 분리하여 고객사의 NAS나 장비에서 관리되도록 분산화함으로써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를 하이브리드적으로 운영할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이것을 일종의 엣지 컴퓨텅이라고 부를수 있을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저희 AoneCloud 의 경우 이러한 상황에 대응될수 있도록 설계 되어있으며, 당장은 아니지만 조만간 실제 상용서비스 상품 옵션으로 론칭할 준비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 조금  더 구체적인 사례 :  1990년대 말 HP workManager 도입 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20여년간의 모든 설계데이터가 PLM에 축적되어있는 어느 반도체 회사의 관계자의 워딩을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신규 제품 개발시 자연스럽게 PLM에 축적된 과거사례를 참고/재활용하여 개발하는등, 오랜 데이터 축적이 이제는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습니다.


[질문 11] 

3D CAD 데이터가 PLM 에 연동될 경우 해당 라이브러리를 역으로 3D CAD 로 다시 연동하여 3D 디자인에 활용할 수도 있는지요?


[답변 11] 

아시다시피 통상 3D CAD 의 PLM 애드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D CAD모델을 PLM에 등록하면, PLM에는 E-BOM이 자동적으로 생성되며 BOM의 단말 파트마다 해당 CAD파일이 첨부된 형태로 관리되게 됩니다. 이것이 표준적인 CAD-PLM 연동 사례입니다. 이때 중요한것은 E-BOM이 등록될때 E-BOM을 구성하는 개별 파트가 잘 분류되어 파트마스터에 등록되어야 된다는 사실이며, 이부분이 사실 PLM 운영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신규 설계시, 이미 잘 분류되어 등록되어있는 "공용폼"의 경우 해당 공용품(단말 파트나 혹은 서브 어셈블리)을 PLM이 제공하는 다양한 검색기능을 이용해 찾아내고, 이를  체크아웃하여 3D CAD로 띄운뒤, 부품의 추가/ 삭제/ 변경을 통해 새로운 모델을 설계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설계하기때문에 공용품의 재활용성이 증가하게 된다는것이  3DCAD-PLM 연동의 핵심적인 benfit 중의 하나입니다. 


[질문 12] 

plm을 SaaS 형태로 도입시 다른 SaaS 솔루션이 그렇듯 초기에는 비용에 대한 효과가 큰데 시간이 갈수록 비용이 온프라미스보다 많아져 다시 온프라미스로 가고자 할 수도 있는데 싱클톤 솔루션은 이전에 대한 편리성도 제공을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2] 

- AoneCloud의 경우 원래 온프레미스로 개발되었던 AonePLM의 기술적인 기반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쿠버네티스등의 최신 클라우드 기술을 반영하겼기 때문에 ,클라우드에 운영중인 서버의 데이터(DB 및 파일) 의 백업본만 확보되어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온프레미스로 재구축하는데는  기술적으로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   대부분의 클라우드  (구글, NHN, AWS, Azure 등)의 경우 DB와 파일 정보를  "다운로드" 할때는 용량에 비례한 비용이 책정되므로, migration시 비용이 많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것은 클라우드 인프라 업체에서 공개된 요율에 의해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질문 13] 

PLM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는 경우 필수적으로 점검해야 할 체크리스트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13] 

- 발표세션에서 언급드린 체크리스트가  주로 "PLM 도입에 " 방점을 둔 체크리스트라고 볼수도 있어 이렇게 질문해주신것 같습니다. 순수 [운영]에 관한 사항은 전체 18개 항목에서 몇 개 되지는 않지만 몇가지 찾으실 수는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운영"방안에 주안점을 둔 체크리스트를 따로 만들려면 별도로 또한번 연구를 해봐야 될 같습니다만.. 일단 역시 [도입] 이나 [운영] 이나 마지막 체크항목.. 즉 이" 시스템을 제대로 운영할 사람이 우리 회사에 있는가?" 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  시스템 운영 관련에 특화된 체크항목을 생각해 보면 일단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떠오릅니다. (일부는 자료 24p에도 언급된 내용입니다)

 (1) 백업 대책 수립

 (2) 보안대책 수립

 (3) 구축시 수립했던 PLM 데이터 등록 범위/ 등록 일정 / 등록에 투입할 인력 등등 데이터 입력계획 에 대한 지속적인 체크 및 계획 재조정


[질문 14] 

PLM 솔루션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오늘 많이 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관심이 더 생겨서 홍상훈 대표이사님의 회사 웹사이트 http://www.singleton.co.kr/를 보면 혁신을 위한 PLM 솔루션 개발, 변화와 발전에 대응하는 PLM 솔루션 서비스, 고객과 함께 만들어 가는 PLM 전문 기업이라는 소개가 보이는데 이 내용으로는 회사 이름이 싱글톤인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말씀 드리면,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싱글톤은 객체 선언 패턴 중 하나의 명칭이고 영어사전에서는 단독 개체라는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답변 14] 

객체선언 패턴 의 명칭에서 따온 것이 맞습니다. 저희 솔루션 개발시 즐겨 사용했던 패턴이기도 합니다만(물론 장단점이 있어 함부로 남용하면 안되는 패턴입니다), 굳이 의미부여를 하자면 PLM 업계내에서 유일무이 한 존재가 되어 보이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생각하셔도 될듯합니다. 또한  "싱글"은 "벙글"와 함께 쓰이는,  좋은 뉘앙스를 가지고 있는 단어이기도 하네요 ^^ 


[질문 15] 
중소기업에서 plm을 클라우드형태로 도입하면 초기 효과가 좋을 것 같은데 초기 도입시 비용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이나 국가 지원체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5] 
(1) 아시다시피 온프레미스방식에 비해서 클라우드 서비스 자체가 도입 비용이 낮을수 밖에 없습니다. 좀 더 낮추려면 소규모로 테스트해 보신다음 본격적으로 확대하시는것을 생각해 보실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2) 국가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중소기업 클라우드 서비스이용지원 바우처  사업" 으로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신청기간은 2022년 4월1일까지였습니다) 내년에도 비슷한 사업이 있을것으로 보이며, 연초에 이러한 공고를 잘 모니터링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질문 16]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방식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답변 16] 
클라우드의 경우 클라우드 서버와 고객사현장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아무래도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속도및 트래픽 비용 문제가 실질적인 이슈가 될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을 극복하기위하여 클라우드서버는 DB 메타정보만 관리하고, 실제적인 파일서버는 분리하여 고객사의 NAS나 장비에서 관리되도록 분산화할수 있는 방안을 강구중이며, 당장은 아니지만 조만간 실제 상용서비스 상품 옵션으로 론칭할 준비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질문 17] 
PLM 도입을 통해 크게 효과를 본 중소제조기업 대표 사례가 있을까요? 

[답변 17] 
​"크게 효과"를 봤다는 것은 곧 "성공사례" 라고 볼 수있을 것 같습니다. PLM의 경우 ROI의 정량화가 매우 어렵습니다. 발표자료의 P35 에 의거해서, PLM이 없이는 업무가 돌아가지 않는 많은 고객사분들이 있다는 말씀으로 답변을 대신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질문 18] 가성비 좋은 PLM 솔루션을 선택하려는 경우 필수적으로 점검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18] 
발표자료 …p33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 핵심은 정확한 PLM 요건사항도출 및 그에 따른 단계적인 구축계획의 수립이 가장 중요하며, 이것이 선행되어야 올바른 PLM 선택이 가능하다는 소견입니다. 

[질문 19] PLM을 가상 환경에서 운영했을 때 성능 저하의 우려는 없는지 문의 드립니다.

[답변 19] 
이론적으로, 가상환경에서 운영했을때 컴퓨팅 파워 측면에서는 실서버보다 불리겠지만, 체감면에서 큰 차이를 느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만일 실제로 성능이 문제가 된다면 가상서버의 CPU 나 램 설정을 간단히 올릴수 있기 때문에, 가상환경에서의 성능저하 우려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물론 비용은 증가하겠습니다만)  단, 네트웍을통한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속도는 사내 온프레미스 서버에 비해 불리할수도 있으므로, 도입전에 실제 운영되는 업무의 파일들을 가지고 테스트를 해보신뒤 비용을 시뮬레이션 해보실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질문 20]
plm 을 도입시 필수적인 요소를 파악하는 노하우를 가진 사람이 현업에 많이 있을 것 같은데 현재 plm 프로젝트를 이끄는 조직은 본사에서 진행하리라고 생각되는데 이런 plm 조직이 plm에 최적의 사람을 찾는 최선의 방법이 궁금합니다. 

[답변 20] 
맞습니다. 통상 전산조직이 있는경우 도입시에는 전산조직에서 주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시스템을 사용할 분들은 현업(PLM의 경우 주로 연구소나 설계실)이기 때문에, 도입시 전산팀과 유기적인 소통이 필요합니다. 

도입시와는 달리 구축시에는 as-is분석과 to-be 방안 도출이 거의 현업 담당PM(발표세션에서 "깃발맨")이라고 표시한)의 의지와 역량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전산팀 도입 담당자와 현업 담당PM 간에  많은 사전(도입전) 공감대 형성이 필수 입니다. 

이런 최적인 사람을 찾는 최선의 방법은.... 왕도가 없으며 모든 기업의 사정(다소 민감한 부분이긴 하겠으나, 심지어 사내 정치적인 배경까지도 포함하여) 다를것 같습니다 (적재적소의 인원 배치는 모든 경영자들의 꿈이 아닐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PLM 홈페이지 관리캐드앤그래픽스 : 전화: 02-333-6900
팩스: 02-774-6911 / 메일: plm@cadgraphics.co.kr
사업자번호: 237-88-00798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23길 47
미도파광화문빌딩 607호 (주)이엔지미디어 우)03182

Copyright CAD&Graphics ENGEDIA CO., LTD.   All rights reserved. ADMIN
PC 버전으로 보기